도이 요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이 요이치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1992년 가시와 레이솔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FC 도쿄, 도쿄 베르디를 거쳐 2012년 은퇴했다. FC 도쿄 소속으로 2004년 J리그컵 우승, 2004년 J1리그 베스트 일레븐, J리그컵 MVP를 수상했다. 2003년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2004년 AFC 아시안컵 우승 멤버로 활약했으며, 2006년 FIFA 월드컵에도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도쿄 베르디, 레노파 야마구치 FC 등에서 골키퍼 코치를 역임했으며, 2024년부터 요코하마 FC의 골키퍼 코치를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현 출신 축구 선수 - 오다 마코토
오다 마코토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며, 2008년 로아쏘 구마모토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리베르타스 센슈쿠 FC에서 활동했다. - 구마모토현 출신 축구 선수 - 마쓰모토 다이키
마쓰모토 다이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반포레 고후에서 프로 데뷔 후 여러 팀에서 활동했으며, 유소년 시절 공격수, 고등학교 시절 수비수, 대학 시절 다시 공격수로 포지션을 변경하며 다양한 이력을 쌓았고, 2024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AFC 챔피언스리그와 J1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 구마모토현 출신 - 타지리 요시히로
1994년 IWA 재팬에서 데뷔한 일본 프로레슬러 타지리 요시히로는 ECW, WWE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며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독특한 스타일과 독무 기술로 유명하며 현재는 규슈 프로레슬링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 구마모토현 출신 - 야마시타 야스히로
야마시타 야스히로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무제한급 금메달리스트이자 203연승의 기록, 세계 선수권에서의 압도적 성적, 전일본 유도 선수권 9연패를 달성한 일본 유도계의 전설적인 인물이며, 은퇴 후에는 국제 유도계와 올림픽 운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쉬윈룽
쉬윈룽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베이징 궈안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중국 슈퍼리그 우승과 아시안컵 준우승 등에 기여한 중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 2004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도이 요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도이 요이치 |
출생일 | 1973년 7월 25일 () |
출생지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키 | 1.84m |
포지션 | 골키퍼 |
현재 클럽 | 요코하마 FC (골키퍼 코치) |
별칭 | 도이짱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오즈 고등학교 (1989–1991) |
클럽 | 가시와 레이솔 (1992–1999): 92경기 0골 FC 도쿄 (2000–2007): 230경기 0골 도쿄 베르디 (2008–2012): 131경기 0골 |
총 출장 | 453경기 0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2004–2005): 4경기 0골 |
수상 내역 |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컵 우승 (1999) |
FC 도쿄 | J리그컵 우승 (2004) |
일본 | AFC 아시안컵 우승 (2004년 중국) |
2. 클럽 경력
도이 요이치는 1992년 히타치(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부터 가토 류지와 주전 골키퍼 경쟁을 벌였으나, 1998년부터 미나미 유타에게 밀려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2000년 FC 도쿄로 이적한 후에는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2004년 J리그컵 우승과 MVP 수상을 이끌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216경기 연속 출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2008년에는 도쿄 베르디로 이적하여 2008 시즌 모든 경기에 출전했지만, 팀은 J2 리그로 강등되었다. 2011년 부상으로 주전 경쟁에서 밀렸으나, 2012년 복귀하여 잠시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2012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연도 | 팀 | 리그 | 리그 경기 | 리그 컵 경기 | 천황배 경기 | 총 경기 |
---|---|---|---|---|---|---|
1992 | 히타치 | 구 JFL 1부 | 0 | 0 | - | 0 |
1993 | 가시와 | 구 JFL | 15 | 1 | 0 | 16 |
1994 | 구 JFL | 15 | 1 | 0 | 16 | |
1995 | J | 17 | - | 2 | 19 | |
1996 | 30 | 15 | 2 | 47 | ||
1997 | 19 | 8 | 3 | 30 | ||
1998 | 8 | 0 | 1 | 9 | ||
1999 | J1 | 3 | 0 | 0 | 3 | |
2000 | FC 도쿄 | 30 | 2 | 0 | 32 | |
2001 | 30 | 3 | 1 | 34 | ||
2002 | 30 | 7 | 1 | 38 | ||
2003 | 30 | 6 | 2 | 38 | ||
2004 | 30 | 1 | 3 | 34 | ||
2005 | 34 | 0 | 2 | 36 | ||
2006 | 32 | 2 | 0 | 34 | ||
2007 | 14 | 4 | 0 | 18 | ||
2008 | 도쿄 V | 34 | 4 | 0 | 38 | |
2009 | 도쿄 V | J2 | 43 | - | 1 | 44 |
2010 | 34 | - | 1 | 35 | ||
2011 | 2 | - | 0 | 2 | ||
2012 | 18 | - | 0 | 18 | ||
총 통산 (일본 J1) | 341 | 52 | 17 | 410 | ||
총 통산 (일본 J2) | 97 | - | 2 | 99 | ||
총 통산 (일본 구 JFL 1부) | 15 | 1 | 0 | 16 | ||
총 통산 | 453 | 53 | 19 | 525 |
- J리그 첫 출전: 1995년 7월 1일 J1 산토리 제21절 vs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가시와)
- J1 100경기 출전: 2000년 8월 5일 J1 2nd 제8절 vs 가시와 레이솔 (서부 녹지 륙)
- J1 200경기 출전: 2004년 4월 3일 J1 1st 제3절 vs 도쿄 베르디 1969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J1 300경기 출전: 2007년 5월 26일 J1 제13절 vs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아지노모토 스타디움)[47]
- J리그 연속 출전 기록: 216경기 (2000년 - 2006년)
2. 1. 가시와 레이솔 (1992-1999)
도이 요이치는 1973년 7월 25일 구마모토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92년 히타치(이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했다. 프로 선수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못하고, 일본 TV의 프로그램 "GENKI FC"(세르지오 에치고 코치)에 출연하여 J리그 클럽에 어필, 재팬 풋볼 리그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후의 가시와 레이솔)와 계약을 체결했다.가토 류지 등과의 포지션 경쟁을 거쳐 주전 골키퍼 자리를 잡았으며, 1996년에는 애틀랜타 올림픽 백업 멤버로 선출되었고, JOMO컵에 출전하는 등 활약을 보였다. 1997년부터 가토 류지와 골키퍼 주전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1998년 이후에는 미나미 유타[7] 나 요시다 무네히로의 활약으로 인해 벤치 멤버에서도 제외되는 일이 잦아졌다.[8]
2. 2. FC 도쿄 (2000-2007)
2000년, 도이 요이치는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J1으로 승격한 FC 도쿄로 완전 이적했다. 오쿠마 키요시 감독이 추구하는 전원 수비의 핵심으로서 개막부터 주전 자리를 유지했으며, 과제였던 포지셔닝과 상황 판단 능력을 향상시켜 안정감을 높였다.[9]2002년 하라 히로미 감독 취임 후에도 신뢰는 변함없었고, 2004년 2nd 11절 히로시마전에서는 14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달성했다.[10] (이전 기록은 시미즈 골키퍼 사나다 마사노리의 145경기)[11] 같은 해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도 선정되었다.[12] 그 해의 나비스코컵 결승에서는 퇴장 선수가 나오는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우라와의 맹공을 막아내며[13] 우승에 기여했고, MVP를 수상했다.[14]
이후 일본 대표팀과의 병행으로 컨디션 조절에 어려움을 겪으면서도,[15] 슈팅에 대한 날카로운 반응, 정확한 캐칭, 수비진을 조율하는 코칭을 바탕으로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2006년 33절 우라와전 불참 전까지 2000년 개막전부터 총 21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2014년 가시마의 소가하타 히토시가 갱신) 2007년에는 시오타 히토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고, 그 해 말 팀을 떠났다. 도이는 경기에서의 선방뿐만 아니라 주장으로서 팀을 정신적으로 이끄는 존재였다.[16]
2. 3. 도쿄 베르디 (2008-2012)
2008년, 후쿠니시 타카시와 함께 J1으로 복귀한 도쿄 라이벌 도쿄 베르디로 완전 이적했다.[23][24] 이적 후 타카기 요시나리를 제치고 주전 골키퍼 자리를 획득, 리그 전 경기에 출장하며 분투했지만 팀은 17위로 J2로 강등되었다. 구단의 경영 악화로 인해[25] 한때 계약 갱신 불가 발표가 있었지만,[26] 감봉 조건으로 재계약 제안에 응하여[27][28] 이듬해 2009년 1월에 재계약이 발표되었다.[29] J2 강등 후에도 주전 골키퍼 자리를 지켰으며, 타카기는 나고야로 이적했다.2011년 5월 4일, 옛 소속팀 FC 도쿄와의 "도쿄 더비" 경기 중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왼쪽 아킬레스건 파열로 인해 6개월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아[30] 이탈했다.
2012년 7월 15일, 제24절 돗토리전에서 1년 2개월 만에 복귀하여 시바사키 타카히로로부터 포지션을 탈환했다. 근거리에서의 슈팅 세이브 능력을 보여주며 건재함을 과시했지만,[32] 그 해를 끝으로 전력 외 통보를 받고[33] 계약 만료로 퇴단했다.[34]
3. 국가대표 경력
도이 요이치는 2003년 6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3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지만,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5] 2004년 2월 7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일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5] 2004년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차지한 일본 대표팀의 일원이었다.[5] 2005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4경기에 출전했다.[5]
2003년부터 2006년 2006년 월드컵을 포함한 대부분의 경기에 일본 대표팀으로 선발되었지만, 가와구치 요시카쓰와 나라자키 세이고에 밀려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5] 2006년 독일 월드컵에도 선발되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지만 최고령 선수로서 팀을 격려했다.[22]
2005년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 3차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는 슈퍼 세이브를 연발하며[21] 일본의 승리에 기여했다.
도이 요이치의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출전 | 득점 |
---|---|---|
2003 | 0 | 0 |
2004 | 2 | 0 |
2005 | 2 | 0 |
2006 | 0 | 0 |
통산 | 4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2004년 2월 7일 | 이바라키현 | 가시마 스타디움 | 말레이시아 | ○4-0 | 지쿠 | 기린 챌린지 컵 |
2. | 2004년 11월 17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싱가포르 | ○1-0 | 월드컵 예선 | |
3. | 2005년 8월 7일 | 대구광역시 | 대한민국 | ○1-0 |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 | ||
4. | 2005년 10월 8일 | 리가 | 라트비아 | △2-2 | 국제 친선 경기 |
4. 지도자 경력
2013년 1월, 현역에서 은퇴하고 도쿄 베르디의 육성 골키퍼 코치로 취임했다[35]。 같은 해 말, J리그 공로 선수상을 받았다[36]。2014년에는 JFA 공인 A급 제너럴 라이센스를 취득했다[37]。
2014년 9월, 도쿄 베르디 1군 감독 토가시 고이치의 요청으로[38], 같은 팀의 골키퍼 코치가 되었다[39][40]。 토가시 감독이 물러남에 따라 2016년을 마지막으로 퇴임했다[41]。
2017년에는 도쿄 베르디의 육성 골키퍼 코치로 다시 취임했다[42]。 시즌이 끝난 후인 11월에 계약 만료로 퇴임했다[43]。 그 후, 2018년 시즌부터 레노파 야마구치 FC 1군 골키퍼 코치로 취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44]。
2023년 시즌이 끝난 후, 계약 만료로 레노파 야마구치 FC를 떠났다[45]。 그 후, 2024년 시즌부터 요코하마 FC의 골키퍼 코치로 취임했다[46]。
연도 | 팀 | 직책 |
---|---|---|
2013년 - 2014년 9월 | 도쿄 베르디 | 육성 GK 코치 |
2014년 9월 - 2016년 | 도쿄 베르디 | 1군팀 GK 코치 |
2017년 | 도쿄 베르디 | 육성 GK 코치 |
2017년 | U-18 일본 대표 | GK 코치[48] |
2018년 - 2023년 | 레노파 야마구치 FC | GK 코치 |
2024년 - | 요코하마 FC | GK 코치 |
5. 수상 내역
- AFC 아시안컵: 2004
- J1리그 베스트 일레븐: 2004[12]
- J리그컵 MVP: 2004
- J리그 우수 선수상: 2002, 2003, 2004, 2005
- J리그 공로 선수상: 2013
5. 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가시와 레이솔 | 1992 | 일본 풋볼 리그 | 0 | 0 | 0 | 0 | – | 0 | 0 | |
1993 | 0 | 0 | 0 | 0 | – | 0 | 0 | |||
1994 | 15 | 0 | 0 | 0 | 1 | 0 | 16 | 0 | ||
1995 | J1 리그 | 17 | 0 | 2 | 0 | – | 19 | 0 | ||
1996 | 30 | 0 | 2 | 0 | 15 | 0 | 47 | 0 | ||
1997 | 19 | 0 | 3 | 0 | 8 | 0 | 30 | 0 | ||
1998 | 8 | 0 | 1 | 0 | 0 | 0 | 9 | 0 | ||
1999 | 3 | 0 | 0 | 0 | 0 | 0 | 3 | 0 | ||
합계 | 92 | 0 | 8 | 0 | 24 | 0 | 124 | 0 | ||
FC 도쿄 | 2000 | J1 리그 | 30 | 0 | 0 | 0 | 2 | 0 | 32 | 0 |
2001 | 30 | 0 | 1 | 0 | 3 | 0 | 34 | 0 | ||
2002 | 30 | 0 | 1 | 0 | 7 | 0 | 38 | 0 | ||
2003 | 30 | 0 | 2 | 0 | 6 | 0 | 38 | 0 | ||
2004 | 30 | 0 | 3 | 0 | 1 | 0 | 34 | 0 | ||
2005 | 34 | 0 | 2 | 0 | 0 | 0 | 36 | 0 | ||
2006 | 32 | 0 | 0 | 0 | 2 | 0 | 34 | 0 | ||
2007 | 14 | 0 | 0 | 0 | 4 | 0 | 18 | 0 | ||
합계 | 230 | 0 | 9 | 0 | 25 | 0 | 264 | 0 | ||
도쿄 베르디 | 2008 | J1 리그 | 34 | 0 | 0 | 0 | 4 | 0 | 38 | 0 |
2009 | J2 리그 | 43 | 0 | 1 | 0 | – | 44 | 0 | ||
2010 | 34 | 0 | 1 | 0 | – | 35 | 0 | |||
2011 | 2 | 0 | 0 | 0 | – | 2 | 0 | |||
2012 | 18 | 0 | 0 | 0 | – | 18 | 0 | |||
합계 | 131 | 0 | 2 | 0 | 4 | 0 | 137 | 0 | ||
통산 | 453 | 0 | 19 | 0 | 53 | 0 | 525 | 0 |
2000년에는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이 해부터 J1에 승격한 FC 도쿄에 완전 이적으로 입단했다. 오쿠마 키요시 감독이 표방하는 전원 수비의 핵심으로서, 개막부터 주전 자리를 유지했다. 과제였던 포지셔닝과 상황 판단을 향상시켜 안정감을 높였다[9]。
2002년 하라 히로미 감독 취임 후에도 신뢰는 흔들리지 않았고, 2004년 2nd 11절 히로시마전에서 14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달성했다[10](이전 기록은 전 시미즈 골키퍼 사나다 마사노리의 145경기)[11]。이 해의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도 선정되었다[12]。그 해의 나비스코컵 결승에서는 퇴장 선수가 나오는 불리한 상황 속에서 우라와의 맹공에 견디며[13] 우승에 기여함과 동시에 MVP를 획득했다[14]。
이후 일본 대표와의 병행으로 컨디션 조절에 고심하면서도[15], 슈팅에 대한 날카로운 반응과 정확한 캐칭, 수비진을 움직이는 코칭을 무기로 정식 골키퍼로서 출전을 계속하여, 2006년 33절 우라와전 불참에 이르기까지 2000년 개막전부터 총 21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세웠다(이 기록은 2014년에 가시마의 소가하타 히토시가 갱신했다). 2007년에는 시오타 히토시에게 주전 자리를 빼앗겨, 그 해 말에 퇴단했다. 경기에서의 선방뿐만 아니라, 주장을 맡아 정신적으로도 팀을 견인하는 존재였다[16]。
5. 2. 대표팀
2003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선발되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5] 2004년 2월 7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일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5] 2004년 아시안컵에서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5] 2006년 월드컵을 포함한 대부분의 경기에 일본 대표팀으로 선발되었지만, 가와구치 요시카쓰와 나라자키 세이고에 밀려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5] 2005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4경기에 출전했다.[5]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일본 | 2004 | 2 | 0 |
2005 | 2 | 0 | |
합계 | 4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2004년 02월 07일 | 이바라키현 | 가시마 스타디움 | 말레이시아 | ○4-0 | 지쿠 | 키린 챌린지 컵 |
2. | 2004년 11월 17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싱가포르 | ○1-0 | 월드컵 예선 | |
3. | 2005년 08월 07일 | 대구광역시 | 대한민국 | ○1-0 |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 | ||
4. | 2005년 10월 08일 | 리가 | 라트비아 | △2-2 | 국제 친선 경기 |
5. 3. 개인
6. 기타
2000년 FC 도쿄에 완전 이적하여 오쿠마 키요시 감독 아래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포지셔닝과 상황 판단 능력을 향상시켰다.[9]
2002년 하라 히로미 감독 취임 후에도 신뢰를 받으며, 2004년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14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달성했다.[10](이전 기록은 시미즈 에스펄스 골키퍼 사나다 마사노리의 145경기)[11] 2004년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고,[12] 같은 해 나비스코컵 결승에서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맹공을 막아내며 우승에 기여, MVP를 획득했다.[14]
이후 일본 대표 활동과 병행하며 컨디션 조절에 어려움을 겪었지만,[15] 슈팅에 대한 날카로운 반응과 정확한 캐칭, 수비진을 움직이는 코칭을 바탕으로 정식 골키퍼로 출전을 계속했다. 2006년 우라와전 불참까지 2000년 개막전부터 총 216경기 연속 풀타임 출장이라는 J리그 신기록을 세웠다(이 기록은 2014년에 가시마 앤틀러스의 소가하타 히토시가 갱신). 2007년 시오타 히토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팀을 떠났다. 경기에서의 선방뿐만 아니라 주장을 맡아 정신적으로도 팀을 이끄는 존재였다.[16]
참조
[1]
웹사이트
2006 FIFA World Cup Germany: List of Players: Japan
https://www.fifadata[...]
FIFA
2014-03-21
[2]
웹사이트
Players/staff
https://www.yokohama[...]
Yokohama FC
2024-03-30
[3]
J리그
J.League
https://data.j-leagu[...]
[4]
Tokyo Verdy
Tokyo Verdy
https://www.verdy.co[...]
[5]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6]
웹사이트
PLAYER'S DATABASE
http://www.soccer-m.[...]
WEBサッカーマガジン
2007-09-09
[7]
서적
DECADE 柏レイソル10年史
文化工房,星雲社
[8]
J리그
選手出場記録
http://data.j-league[...]
1999-11-27
[9]
서적
FC東京ファンブック2001
毎日新聞社
[10]
웹사이트
土肥洋一選手『J1リーグ戦連続試合出場記録』日本記録樹立のお知らせ
http://www.fctokyo.c[...]
FC東京
2011-05-08
[11]
J리그
J1 2nd 第11節 土肥 洋一選手(F東京)J1リーグ戦連続出場記録更新!
http://www.jleague.j[...]
2004-10-31
[12]
웹사이트
土肥洋一選手「ベストイレブン」選出について
http://www.fctokyo.c[...]
FC東京
2014-02-08
[13]
웹사이트
F東京が初タイトル! ナビスコ・カップ決勝戦
http://www.yomiuri.c[...]
スポーツ報知
2014-02-08
[14]
J리그
【2004 Jリーグヤマザキナビスコカップ決勝】PK戦の末、FC東京が初優勝! MVPは土肥洋一選手に決定!!
http://www.jleague.j[...]
2004-11-03
[15]
서적
FC東京ファンブック2005
毎日新聞社
[16]
J's GOAL
【スペシャルインタビュー Vol.21】FC東京:石川直宏選手
http://www.jsgoal.jp[...]
2005-09-22
[17]
서적
FC東京ファンブック2004
毎日新聞社
[18]
웹사이트
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2003/FIFAコンフェデレーションズカップ2003 日本代表チーム選手の入れ替えについて
http://www.jfa.or.jp[...]
日本サッカー協会
2014-02-08
[19]
웹사이트
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2003/FIFAコンフェデレーションズカップ2003日本代表チームに土肥洋一選手追加召集のお知らせ
http://www.fctokyo.c[...]
FC東京
2014-02-08
[20]
스포츠나비
イニシエーションとしての日韓戦 (8月7日@大邱) (1/2)
http://archive.sport[...]
2005-08-08
[21]
스포츠나비
イニシエーションとしての日韓戦 (8月7日@大邱) (2/2)
http://archive.sport[...]
2005-08-08
[22]
47NEWS
「心一つに」大きな声 チームの兄貴、土肥選手
https://web.archive.[...]
2006-06-15
[23]
웹사이트
土肥洋一選手 東京ヴェルディ1969へ完全移籍決定のお知らせ
http://www.fctokyo.c[...]
FC東京
2014-02-08
[24]
웹사이트
土肥洋一選手 加入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4-02-08
[25]
닛칸스포츠
東京Vが大リストラ! 服部、福西ら解雇
https://www.nikkansp[...]
2008-12-01
[26]
웹사이트
契約満了選手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1-05-08
[27]
스포츠니폰
高木ヴェルディ 19日に新チームスタート
https://www.sponichi[...]
2009-01-19
[28]
웹사이트
土肥が東京Vと再契約! 大幅減俸も男気でOK
http://hochi.yomiuri[...]
스포츠報知
2014-02-08
[29]
웹사이트
土肥洋一選手 契約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1-05-08
[30]
東京ヴェル디오フィシャルウェブサイト
土肥洋一選手の負傷について
http://www.verdy.co.[...]
2011-05-07
[31]
스포츠니폰
元日本代表GK土肥が引退…今後は東京V下部組織のコーチに
https://www.sponichi[...]
2013-01-09
[32]
스포츠나비
ピッチの孤影=シリーズ東京ヴェルディ (5)
http://sportsnavi.ya[...]
2012-07-25
[33]
스포츠니폰
東京V 土肥を戦力外に…7月に1年2カ月ぶりに復帰も
http://www.sponichi.[...]
2012-11-29
[34]
東京ヴェル디
土肥洋一選手の契約について
http://www.verdy.co.[...]
2012-11-29
[35]
東京ヴェル디
土肥洋一選手引退ならびに育成GK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2013-01-20
[36]
뉴스
功労選手賞について
http://www.jleague.j[...]
Jリーグ
2013-10-15
[37]
간행물
2013(平成25)年度 公認A級コーチジェネラル養成講習会 合格者【113名】
http://www.jfa.jp/ab[...]
日本サッカー協会
2014-04-10
[38]
서적
週刊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No.1304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39]
간행물
土肥洋一GK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4-09-15
[40]
뉴스
登録役員追加・変更・抹消のお知らせ
http://www.jleague.j[...]
Jリーグ
2014-09-19
[41]
뉴스
J2東京V 冨樫監督に続きコーチ陣も総退陣 元W杯戦士・土肥GKコーチも
https://www.sponichi[...]
2016-11-30
[42]
간행물
2017シーズン アカデミー・女子チームスタッフ決定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7-01-14
[43]
간행물
土肥 洋一アカデミーGKコーチ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東京ヴェルディ
2017-11-24
[44]
간행물
土肥 洋一氏 トップチームGK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renofa.co[...]
レノファ山口FC
2017-12-08
[45]
간행물
土肥洋一GKコーチ 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s://www.renofa.c[...]
レノファ山口FC
2023-11-15
[46]
간행물
土肥洋一氏 トップチームGK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yokohama[...]
横浜FC
2023-12-22
[47]
뉴스
J1 第13節 土肥 洋一 選手(F東京)・林 健太郎 選手(甲府)J1リーグ戦通算300試合出場達成
http://www.jleague.j[...]
Jリーグ
2007-05-26
[48]
간행물
2017 ナショナルコーチングスタッフ体制【サッカー男子担当]
http://www.jfa.jp/ab[...]
日本サッカー協会
2017-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